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재 장마전선 위치 근황 이동경로 세로 북상

by 뉴비쿨 2024. 6. 20.

안녕하세요, 오늘은 장마철을 앞두고 많은 분들이 관심 갖고 계신 장마전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장마전선이란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정체전선으로, 북쪽의 찬 공기와 남쪽의 더운 공기가 만나 형성됩니다. 이 전선을 따라 많은 비구름이 발생하여 장마철에 집중호우를 내리게 됩니다.

 

장마전선 이란 장마전선은 매년 6월 중순경 한반도 남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7월 중순까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전선 상에서는 남쪽의 습하고 따뜻한 공기와 북쪽의 건조하고 찬 공기가 만나 상승기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적란운이 활발히 형성되어 많은 비를 내리게 됩니다. 장마전선의 정확한 위치와 강도에 따라 지역별 강수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납니다.

현재 장마전선

기상청에 따르면 현재(2024년 6월 17일) 장마전선은 제주도 남쪽 해상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선의 영향으로 제주도를 시작으로 남부지방에는 비가 내리고 있으며, 앞으로 장마전선이 북상함에 따라 중부지방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로 장마전선

세로 장마전선은 작년 처음으로 관측된 이례적인 기상 현상인데요. 기존의 동서 방향 가로 형태가 아닌 남북 방향의 세로 형태 장마전선이 형성된 것입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보이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세로로 길게 자리 잡은 장마전선은 서해안과 중부 내륙 지역에 집중호우를 불러왔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하루 강수량이 200mm를 웃도는 물폭탄 수준의 비가 쏟아졌는데요.

이처럼 장마전선의 비정상적인 세로 형태는 기존의 장마 패턴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며, 극심한 기상 이변을 초래했습니다. 기상청은 이번 사태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의 하나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장마전선 위치

현재 장마전선의 위치는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요. 남해상에 동서로 길게 늘어선 구름대가 장마전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구름대 남쪽으로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남서풍이 불어오고 있고, 북쪽에는 오호츠크해 고기압의 영향으로 북동풍이 불어오고 있어 전형적인 장마전선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장마전선 이동경로

장마전선은 보통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의 확장에 따라 점차 북상하는 경로를 보입니다. 최초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발생한 장마전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부지방, 중부지방으로 북상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남부지방부터 비가 시작되고 점차 중부와 북부지방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장마전선의 북상 속도는 해당 시기 기압계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본 장마전선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매년 장마철에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습니다. 일본에서는 이를 '바이유(梅雨)'라고 부르는데, 6월 초 오키나와 지방을 시작으로 7월 중순까지 일본 열도 대부분이 장마전선의 영향권에 들게 됩니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남북으로 긴 지형적 특성상 장마의 시작과 종료 시기가 지역마다 차이를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실시간 장마전선

기상청에서는 실시간 위성사진과 레이더 영상, 지상 관측 자료를 종합하여 장마전선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장마전선 이동 경로와 강수 예상 지역을 예측하여 국민들에게 알리고 있습니다. 장마철에는 실시간 기상 정보를 확인하여 개인의 일정과 농작물 관리, 시설물 관리 등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장마전선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장마철에는 강한 비바람과 함께 침수,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기상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시고 안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